보건교육사 소개
- 기획
- 운영
- 평가
보건교육사는
개인 또는 집단이 건강상 바람직한 행동을 자발적으로 할 수 있도록 교육하고 환경을 조성하도록 돕는 전문직업인입니다.
보건교육사가 하는 일 |
|
---|
등급별 자격기준
보건교육사 자격기준을 만족하는 국민건강증진 및 보건교육에 관한 자격기준은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있다.
등급 | 자격기준 |
---|---|
보건교육사 1급 | 보건교육사 1급 시험에 합격한 자 |
보건교육사 2급 | ① 보건교육사 2급 시험에 합격한자 |
② 보건교육사 3급 자격을 취득한 자로서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보건교육 업무에 3년 이상 종사한 자 | |
보건교육사 3급 | 보건교육사 3급 시험에 합격한 자 |
|
보건교육사 시험과목
구분 | 시험과목 |
---|---|
보건교육사 1급 |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(30), 보건교육방법론(30), 보건사업관리(40) |
보건교육사 2급 | 보건교육학(30), 보건학(20),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(40), 보건교육방법론(20), 조사방법론(30), 보건사업관리(20), 보건의사소통(30), 보건의료법규(20) |
보건교육사 3급 | 보건교육학(40), 보건학(30),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(20), 보건의료법규(20) |
|
보건교육 관련교과목
보건교육사 국가시험 응시자격과 관련하여 보건복지부령으로 정하는 보건교육 관련 교과목
국민건강증진법 시행규칙 제7조의2 관련[별표 4]에서 규정
구분 | 과목명 | 최소 이수과목 및 학점 |
---|---|---|
필수 과목 | 보건교육학, 보건학, 보건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, 보건교육 방법론, 보건교육실습, 조사방법론, 보건사업관리, 보건의사소통, 보건의료법규 |
총 9과목 및 총 22학점 이수 |
선택 과목 | 해부생리, 보건통계, 보건정보, 인간발달론, 사회심리학, 보건윤리, 환경보건, 역학, 질병관리, 안전교육, 생식보건, 재활보건, 식품위생, 정신보건, 보건영양, 건강과 운동, 구강보건, 야동보건, 노인보건, 학교보건, 산업보건, 지역사회보건 |
총 4과목 및 총 10학점 이수 |
|